이더넷(Ethernet)이란?

  • 컴퓨터 네트워킹 기술 중 하나로, 주로 로컬 영역 네트워크(LAN)를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. 이더넷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여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. -ChatGPT
  • LAN, WAN 등 대부분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프로토콜이다. (중략) 유선 인터넷이 된다면 이는 곧 이더넷을 쓰는 환경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 IEEE 802.3 통신 규격이다. -나무위키
  •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의 하나로, 일반적으로 LAN, MAN 및 WAN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술 규격이다. (중략) 이더넷은 OSI 모델의 물리 계층에서 신호와 배선,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MAC 패킷과 프로토콜의 형식을 정의한다. -위키백과

→ 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유선 네트워크 기술(프로토콜) = 이더넷

이더넷의 특징

  1. MAC주소 :

    이더넷 장치는 고유한 MAC주소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식별된다.

    • MAC주소 : 네트워크 상에서 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48비트(6바이트) 주소.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(NIC)에 내장되어 있으며, 각 장치가 네트워크에서 통신할 때 사용된다.
    • What is MAC Address and How to find it? - PyNet Labs
  2. 프레임 :

    이더넷은 데이터를 프레임이라는 단위로 나누어 전송한다. 프레임에는 목적지 및 출발지 MAC주소, 데이터, 오류 검출 코드 등이 포함된다.

    • Ethernet Frame Format - javatpoint
    • ▲이더넷 프레임의 구성 요소.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별도 포스팅으로 다룰 예정.
  3. 속도 :

    이더넷은 초기에는 10Mbps 속도로 시작했지만, 현재는 Fast Ethernet (100Mbps), Gigabit Ethernet (1Gbps), 10 Gigabit Ethernet (10Gbps) 등 다양한 속도를 지원한다.

  4. 물리적 매체:

    이더넷은 주로 UTP(Unshielded Twisted Pair)케이블, 광섬유 케이블, 동축 케이블 등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.

    • 네트워크] UTP 케이블의 종류와 특성
    • 이더넷 케이블 - 나무위키
    • ▲이더넷 케이블의 대표 주자 UTP 케이블
  5. 네트워크 토폴로지:

    이더넷은 스타 토폴로지에서 주로 사용된다. 중앙의 스위치나 허브를 통해 여러 장치가 연결된다.

    • What is Star Topology | TEKTELIC Glossary
    • ▲스타 토폴로지: 모든 장치가 중앙의 네트워크 장치(스위치, 허브 등)에 직접 연결되는 구조로, 하나의 연결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연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관리가 쉽고 직관적이다. 
  6. 표준:

    이더넷 기술은 IEEE 802.3 표준에 의해 정의된다.


이더넷은 설치가 비교적 쉽고, 비용 효율적이며, 다양한 환경에서 높은 성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네트워크 기술 중 하나이다.

0개의 댓글

댓글 남기기